코스피지수가 2600대의 고점을 찍은 후 점진적으로 하락하고, 지난 10월의 폭락장을 겪으며 현재는 2000~2100선을 오가고 있다. 상승을 위한 강력한 호재로는 남북경협의 구체화, 미-중 무역전쟁의 종전 등이 있겠으나 아직 확실하게 정해진 바가 없기 때문에 국내 증시에 투자하는 투자자들도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모양새이다. 하방 압력을 강하게 받을 수 있는 악재로는 남북협상 결렬, 미-중 무역전쟁의 심화,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이 있으며 이 역시도 현 시점에서는 불확실성이 높은 관계로 모두가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상,하방 모두 열려있으며 증시가 뚜렷한 방향성없이 불안정하게 움직일 때 투자해봄직한 전략이 있다. 로우볼 전략(Low Volatility) 의미 그대로 낮은 변동성을 활용하는..
올해 1분기에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을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지수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이름하여 KRX300 코스피와 코스닥 종목을 한데 모은 후, 시가총액 700위, 거래대금 순위 85% 이내에 포함되는 종목들을 심사하여 300종목을 선정하였다. KRX300이 등장하면서 이 지수를 추종하는 ETF상품들도 함께 출시가 되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거래가 활발히 일어나는 KODEX KRX300 을 중심으로 상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제 출시된 지 4개월 남짓 밖에 되지 않은 상품이기에 월봉 5개가 귀엽게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분기에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고점을 찍고 2분기에 하락한 모습이 KRX300에도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펀드보수 : 연 0.05% 자산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이 E..
지난 글에서 분할매수, 분할매도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물론 본인이 기본적, 기술적 분석능력이 뛰어나서 원하는 가격에 집중매수 후 일괄매도하는 것도 투자에 있어서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지만, 이렇게 하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기 때문에 수익률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최대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는 방안으로 분할매수, 분할매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2018/06/25 - [주식&채권 이야기] - 분할매수, 분할매도 - (1)[주식투자자의 흔들리는 멘탈을 다 잡아줄 정신적지주] 주식 사는법도 알았겠다, 이제 투자금을 들고 주식 매매를 하기 위해 기업을 고르기 시작한다. 삼성전자? 현대차? 셀트리온? SK? GS? 대한민국에서 이름만 대면 알만한 대기업에 투자하거나,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기업..
바닥에 바닥을 뚫고 신나게 내려가기만 하던 국제유가가 스멀스멀 상승하더니 어느새 70달러의 턱밑까지 다다랐다. WTI(서부텍사스유)의 지난 5년간 가격 추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배럴당 100불 근처에서 등락을 반복하던 국제유가는 2014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무섭게 내리꽂기 시작했으며, 하락은 약 1년 6개월 가량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16년 상반기에 배럴당 26.21달러를 최저점으로 찍고 지그재그로 상승하기 시작하여 2년 여만에 배럴당 약 70불 지점까지 오게 되었다. 국제유가를 움직이는 이유로, 큰손들이 '돈 놓고 돈 먹기'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자본주의 시장에서 거대자금이 가격을 결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나, 이것만 가지고는 국제유가를 움직이는 이유를 모두 설명하기는 힘들다. 세상 모..
최근 들어 국내 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이슈, 북한과의 화해무드 급진전, 미국 국채금리 인상 등의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 위, 아래로 흔들흔들 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늘은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장중에 3%를 넘어섰고, 이는 약 4년 여만이라고 한다. 이 여파로 간밤에 미국의 다우지수, 나스닥 등의 지수가 1%를 넘어서는 하락을 보였으며, 국내 코스피지수도 장중에 1%넘는 하락을 보였으나 오후들어 반등의 기미를 보이며 0.62% 하락한 2448.81포인트에 마감하였다. 그렇다면 미국 국채금리가 올랐는데 왜 우리 나라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현상이 일어났을까? 일단, 미국 국채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초우량 스펙타클 안전 투자자산으로 분류된다. 미국 국채란, 미국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이..
최근,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에 국제적인 관심이 쏠려 있는 가운데, 두 나라의 행보에 따라 글로벌 증시도 함께 요동을 치고 있다. 2018/03/25 - [주식&채권 이야기/주식시황 이야기] -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주식투자자에게 위기일까 기회일까? 어떤 날은 큰 폭의 상승을 보이며 이제 증시가 상승세로 돌아섰나 싶게 만들다가도 바로 다음 날에 큰 폭의 하락을 발생시키며 대세 하락의 시작인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국내 증시도 미국과 중국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격하게 반응하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모양새다. 4월 4일 수요일은 위의 차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봉 하나를 생성하며 코스피지수 2408선에서 장을 마감하였다.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 및 원화 강세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지수를..
얼마 전, 코스피지수가 2600을 넘어서면서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였다. 지금은 글로벌 장세가 조정장에 들어감에 따라 코스피도 함께 하락하여 2400대를 넘나들고 있지만 이제 2500쯤은 언제든 다시 넘볼 수 있는 힘이 생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스피지수가 2600까지 수직상승하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종목을 꼽자면 단연 '삼성전자'이다. 삼성전자는 코스피 전체 시총의 30%가량을 차지하는 종목으로서, 삼성전자가 오르면 코스피가 오르고 삼성전자가 내리면 코스피도 내린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게다가 삼성전자 이외에도 삼성물산, 삼성생명 등등 삼성그룹과 관련된 주들이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권에 줄줄이 자리잡고 있는 관계로 삼성이 잘 나가면 코스피도 잘 나가고, 삼성이 힘을 못쓰면 코스피도 주저앉는 경..
지난 글에서 국제유가(원유)에 투자할 때 참고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2017/12/19 - [주식&채권 이야기/ETF&ETN] - ETF/ETN으로 국제유가(원유)에 투자하기-(1) 이번 글에서는 실제 시중에 출시되어 운영되고 있는 ETF/ETN 상품들을 어떻게 투자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일단, ETF상품들은 의무적으로 10종목 이상의 지수를 편입해야하고 ETN은 5종목 이상의 지수를 편입하므로 실시간 국제유가에 더욱 밀접하게 연관되어 반응할 수 있는 것은 ETN쪽이라고 보면 된다. 반면, ETF는 자산운용사가 망해도 내 자산이 날아가지 않지만 ETN은 해당 증권사가 망하면 내가 보유하고 있던 ETN도 함께 날아갈 수 있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국제유가 ETF/ETN에..
배럴당 100달러를 넘나들며 가격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국제유가는 2014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폭락에 폭락을 거듭하여 2016년 상반기에 배럴당 25달러 수준으로 거의 1/4토막이 난다. 그 이후, 유가는 서서히 가격을 회복하여 현재는 55~60달러 선에서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위의 그래프는 '서부텍사스유'의 10년간 가격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2008년 최고 145달러에서 2016년 최저 26달러로 8년만에 가격이 거의 1/6로 하락했다가 다시 상승을 모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국제유가의 등락에는 많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 - 세계 경기의 호황/불황 여부 -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증산 합의 및 이행 여부 - 산유국 국내 정세의 변화 - 국가 간 전쟁 발생 - 대체에너지와의 가격 경..
주식 투자이건, P2P투자이건, 채권 투자이건, 아무튼 투자라는 것을 하다보면 투자가 성공해서 수익을 낼 때도 있고, 반대로 실패해서 손실을 볼 때도 있다. '나는 죽어도 내 돈이 손실나는 꼴은 못보겠다.' 라고 한다면 1금융권 은행에 돈을 맡겨 놓고 두 다리 쭉 뻗고 자면 된다. 5천만원까지는 예금자보호도 되니 어지간한 금액은 국가에서 원금보장까지 다 해준다. 우리 나라가 한창 성장하던 8-90년대 시기에는 은행에만 넣어놔도 내 자산이 금방 불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재테크라는 개념도 희미했었다. 은행 이자가 기본적으로 10%대를 넘나들었으니 은행만 잘 이용하면 별다른 리스크 없이 돈을 불리고, 집을 사고,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었다는 얘기다. 아마 지금 은행에서 10%대 예적금을 출시한다고 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주식
- 삼성전자
- 더하이원펀딩
- ETF
- PER
- 상품권리워드
- 부동산p2p
- 원달러환율
- 배당
- 주식 용어
- 주식투자
- p2p펀딩
- 주식사는법
- 리워드
- 아나리츠
- 주식 기초 용어
- 재테크
- 두시펀딩
- 코스피
- 블루문펀드
- 부동산
- ETN
- 코스피지수
- 수익률
- 배당주
- P2P투자
- 동산담보p2p
- 주식 투자
- p2p상품
- 비즈펀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