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초부터 코로나19로 온세상이 시끌시끌하더니 어느덧 시간은 흘러흘러 다시 찬바람이 부는 계절이 되었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어느새 겨울이 찾아오고 그렇게 2020년의 주식 시장도 마감을 한다.
연말 배당과 배당락의 개념에 대해서는 이전에 쓴 글에 자세한 내용이 나와 있다.
2019/11/06 - [주식&채권 이야기/정보 혹은 잡설] - 2019년 연말 배당과 배당락 날짜 정리
위 글에서 설명한 기준에 따라 2020년도 연말 배당의 배당락일을 구해볼 수 있다.
2020년도의 마지막날은 12월 31일 목요일이다. 매년 마지막날은 휴장이므로 마지막 영업일은 12월 30일 수요일이 된다.
그러면 연말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12월 30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주식은 매수하고 나서 D+2일에 내 계좌에 꽂힌다.
12월 30일에서 2일을 거슬러 올라가면 12월 28일 월요일이 된다. 바로 이 날까지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에 한해서 2020년 연말 배당을 받을 수 있게 된다. 12월 29일에는 주식을 사 봤자 2020년도의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기 때문에 배당을 받을 수 없다. 그러므로 12월 29일은 배당락일이 된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12월 28일 월요일(D-day) : 이 날 18:00시까지 주식을 매수하면 연말 배당을 받을 수 있다.
12월 29일 화요일(D+1) : 배당락, 배당받을 권리가 떨어지는 날. 29일에 아무리 주식을 사봤자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리는 것은 2021년이 되므로 2020년의 연말 배당은 받을 수 없다.
12월 30일 수요일(D+2) : 배당기준일, 12월 28일에 매수한 주식이 내 계좌에 들어오고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리는 날이다. 2020년은 이 날이 마지막 영업일이므로 이 날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배당을 받을 수 있다.
12월 31일 목요일 : 주주명부폐쇄기준일, 당해연도의 마지막 날 = 휴장
주식을 사면 2일 후에 내 계좌에 들어온다는 사실과, 매년 마지막일은 휴장이라는 것만 알고 있으면 매년 연말 배당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쉽게 계산해볼 수 있다. 같은 원리로 반기 배당, 분기 배당을 받기 위한 배당락일도 계산이 가능하다.
2020년 연말 배당과 배당락 날짜 계산하는 법, 끝!
'주식&채권 이야기 > 정보 혹은 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있는 만큼 위험한 투자를 원한다면)레버리지, 인버스 ETF (0) | 2020.09.15 |
---|---|
안녕, 카카오게임즈 (0) | 2020.09.14 |
배당은 언제나 옳을까? -2- (0) | 2020.06.19 |
배당은 언제나 옳을까? -1- (0) | 2020.05.22 |
내일 장이 어떻게 될지 정확히 예측하는 방법?(쉽게 벌려다 쉽게 잃는다.) (0) | 2020.04.0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주식사는법
- 배당
- 주식투자
- 배당주
- p2p상품
- 더하이원펀딩
- 코스피
- 주식
- 리워드
- 두시펀딩
- 부동산
- 재테크
- PER
- 주식 용어
- p2p펀딩
- 삼성전자
- P2P투자
- 코스피지수
- 원달러환율
- 블루문펀드
- 주식 기초 용어
- 부동산p2p
- ETN
- 비즈펀딩
- 아나리츠
- ETF
- 동산담보p2p
- 주식 투자
- 상품권리워드
- 수익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