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주식투자에 입문하면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투자용어는 PBR, PER 일 확률이 아주 높을 것 같다. 대부분의 투자 입문서나 블로그, 유튜브 등의 첫 부분에 등장하기에 투자자의 집중력이 가장 높을 때(?) 만나는 용어이기도 하고 투자 참고 사이트 등에서도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대표적으로 제시하는 분석도구이기에 투자자들에게 아주 익숙하고 친숙한 용어이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PER, PBR, ROE 등의 기본적인 도구들을 활용하다보면 넥스트 레벨에 대한 호기심이 생긴다. 그 때쯤 접하고 활용하면 좋을 도구가 EV/EBITDA라고 생각한다. 먼저 이 녀석은 EV와 EBITDA 둘로 나누어서 각각을 알아본 후, 둘을 합쳐놓은 것이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던져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E..
잊을만하면 한번씩 언론에서 건드려주는 기사거리가 있다. 바로 대기업의 '유보율'에 관한 내용이다. 유보율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기사들을 보면 '현금'이라는 단어가 반드시 나오며 소위 경제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등장해서 유보율이 높은 것이 좋은지, 낮은 것이 좋은지에 대한 갑론을박을 펼치기도 한다. 이번 글에서는 유보율의 사전적 의미에 추가적인 설명을 곁들여보려고 한다. 유보율 사전적 의미 : 영업활동에서 생긴 이익인 이익잉여금과 자본거래 등 영업활동이 아닌 특수 거래에서 생긴 이익인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늘 그렇듯이 우리에게 사전적 의미는 '참 가깝고도 먼 당신'같은 존재이다. 분명 우리말이고 한글로 쓰여 있는데 언뜻 들어서는 이해가 잘 가지 ..
주식의 재무와 관련하여 지난 글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용어인 PER, PBR, EPS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난 글 보기 → [주식 기초 용어]자산/자본/부채, PER/PBR/EPS 이번 글에서는 BPS라는 용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BPS(BookValues Per Share) 우리말로 해석하면 '주당 순 자산가치'라고 한다. 조금 더 길게 풀어서 이야기 하자면 주식 1주가 순수하게 얼마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자산, 자본, 부채의 관계를 알면 BPS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위 링크의 글에서 '자산, 자본, 부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었다. 간단히 다시 복습하면 자산 = 자본 + 부채 라고 하였다. 기업이 가진 자산은 '순수한 자기 돈'인 자본과 '..
주식에서 매수는 주식을 사는 것, 매도는 주식을 파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주식을 하다보면 '누군가 00종목을 매집하고 있는 것 같다.' '세력의 매집 흔적이 보인다.' 와 같은 말들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여기서 등장하는 매집이라는 단어도 매수와 마찬가지로 주식을 사는 것을 의미한다. 주식 사는법(2) - 매수/매도/호가/시장가/지정가/최유리지정가/최우선지정가 등 똑같이 주식을 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매수와 매집이라는 용어는 글씨가 다른 만큼 그 의미도 다르다. 이번 글에서는 매수와 매집 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주식을 매수했다.' 라고 하면 단순히 주식을 샀다는 의미가 된다. 삼성전자 10주를 매수했다는 것은 삼성전자 주식 10주를 사들인 것이다. '주식을 매집했..
요즘 주식투자는 스마트폰을 만질 줄 알면 유치원생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쉽다. 그런데 주식을 하면 할수록 모르는 용어들도 많고 이해해야 할 개념들도 참 많다는 것을 느낀다. 이번 글에서는 신용과 미수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딱히 몰라도 되지만, 또 알아두면 주식판이 돌아가는 상황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주식투자자라면 '신용, 미수'라는 말이 치킨의 '양념반 후라이드반'처럼 함께 묶어서 이야기하는 것을 종종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모르긴 몰라도 어쨌든 돈을 빌려서 주식투자를 한다는 것도 어렴풋이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럼 신용과 미수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고자 한다. 주식 MTS상에서 주문창을 들여다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종류'는 기본적으..
주식투자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 많은 투자자들은 여러 데이터를 참고하고 분석하고 나름의 투자 결정을 내린다. 이 때, 각 주식 종목을 분석하는 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기본적 분석 / 기술적 분석 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기업의 내재 가치를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 가치를 따져보고 현재 주가와 비교해본 후 저평가 구간이라고 판단되면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고평가 구간이라고 판단되면 매도 포지션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석 방법이다. 이 때, 기업의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을 구분하여 분석을 하며 아래와 같은 항목을 고려한다. * 내적 요인 - 기업이 동종 업계에서 차지하는 위치 - R&D 투자 비율 - 매출, 영업이익 등..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나리츠
- ETF
- 블루문펀드
- p2p펀딩
- 주식사는법
- 배당
- PER
- 코스피
- 코스피지수
- 두시펀딩
- 비즈펀딩
- ETN
- 리워드
- 주식 용어
- 주식 투자
- 재테크
- 주식투자
- 배당주
- 원달러환율
- 동산담보p2p
- 수익률
- 주식
- 주식 기초 용어
- p2p상품
- P2P투자
- 부동산p2p
- 삼성전자
- 부동산
- 더하이원펀딩
- 상품권리워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