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 불면 배당주' 주식시장에서 공식처럼 통하는 말 중에 하나다. 배당 시즌이 다가오면서 경제 기사에도 배당주 관련한 기사들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국내 주식시장은 대다수의 기업이 12월 기말 결산을 통해 배당을 실시하기 때문에 찬바람이 부는 늦가을 쯤이 되면 투자자들의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이번 글에서는 배당관련한 용어인 주당배당금 / 시가배당률 / 배당성향 세 용어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주당배당금 주식 1주당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을 뜻하며,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총배당금을 발행주식수로 나누어 구한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총배당금이 100만원이고 발행주식수가 100주라고 하면 주당배당금 = 100만원/100주 = 1만원/주 주당배당금은 1만원이 되며, ..
수 년간 2000선 근처를 빙빙 맴돌기만 하던 코스피지수가 연일 가파른 상승을 거듭하여 어느새 2500을 넘어섰다. 이에 질세라 코스닥지수도 스멀스멀 따라오르는가 싶더니 2017년 11월 3일 기준으로 700고지를 재탈환하였다. '주식초보인데 어떤 주식을 살까요?' 같은 글들이 각종 커뮤니티에 넘쳐나고 있음으로 미루어 볼 때,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주식투자에 대한 관심이 어느때보다 뜨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은 각각 어떤 의미를 지니고,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코스피(KOSPI) 국내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종합주가지수이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개별종목들의 가격을 한데 모아 알아보기 쉽게 표시하는 수치이다. 우리 나라의 코스피..
대다수의 주식투자자가 PER과 PBR을 토대로 현재 주가가 적정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 ROA와 ROE도 투자지표로서 심심치 않게 등장하지만 이 둘을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두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ROA와 ROE는 흔히 '수익성지표'라고 불린다. 기업이 수익을 잘 내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라고 볼 수 있다. ROA(Return On Asset / 자산수익률) ROA는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얻어지는 백분율이다. 자산에 비해 당기순이익이 많을수록 ROA가 증가하며, 당연히 ROA가 높을수록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내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예를 들어, 총자산이 100억원인 기업의 ROA가 30%라고 하면 해당 기업은 100억원의 자산을..
나는 개인적으로 김춘수 시인의 '꽃'이라는 시를 좋아한다. 학창시절에 이 시를 기계적으로 파헤쳐가며 배울 때는 몰랐으나 언어 영역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 '꽃'이라는 시를 다시 바라보니 그 의미가 너무나 아름다웠다. 우리는 서로 친해지기 위해 통성명을 하고, 특별한 사이가 되기 위해서는 '애칭'을 만들어 부른다. 좋아하는 이성이 생겼을 때, 나만 부르는 애칭을 만들어 부르면 친밀한 관계가 될 확률이 더 높으려나..?? 잡소리는 여기까지 하고, 주식이든 채권이든 재테크를 할 때도 관련 용어들과 친해져야 한다. 해당 용어가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고, 자주 접해야 익숙해지고 투자에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글에서는 주식투자에서 필요한 주식 기초 용어들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자산..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투자의 세계에 발을 내딛은 사람이라면 책에서건 대중매체에서건 이 말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투자에 있어서 분산투자 및 포트폴리오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문구이며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사면서 현재도 많은 투자자들이 이 말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주식투자세계에서 많이 회자되는 문구이며 한 종목에 집중투자하는 것을 경계하고 업종별, 종목별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 이 말이 꼭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주식시장에서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투자자들이 많이 선택하는 투자방법이기도 하다. (수익 극대화의 측면에서 보면 '집중투자'도 매력적인 투자방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투자'라는 상위개념에서..
주식 투자이건, P2P투자이건, 채권 투자이건, 아무튼 투자라는 것을 하다보면 투자가 성공해서 수익을 낼 때도 있고, 반대로 실패해서 손실을 볼 때도 있다. '나는 죽어도 내 돈이 손실나는 꼴은 못보겠다.' 라고 한다면 1금융권 은행에 돈을 맡겨 놓고 두 다리 쭉 뻗고 자면 된다. 5천만원까지는 예금자보호도 되니 어지간한 금액은 국가에서 원금보장까지 다 해준다. 우리 나라가 한창 성장하던 8-90년대 시기에는 은행에만 넣어놔도 내 자산이 금방 불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재테크라는 개념도 희미했었다. 은행 이자가 기본적으로 10%대를 넘나들었으니 은행만 잘 이용하면 별다른 리스크 없이 돈을 불리고, 집을 사고,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었다는 얘기다. 아마 지금 은행에서 10%대 예적금을 출시한다고 하..
지난 글에서 '숲과 나무를 함께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요즘 '빅픽쳐'라는 용어가 유행하고 있는데, 투자에서도 편협한 사고에서 벗어나 빅픽쳐를 그릴 수 있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지난 글 보기] 2017/09/30 - [주식 이야기] -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1(주식투자의 본질은 무엇인가) 2017/09/30 - [주식 이야기] -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2(개미투자자가 ETF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2017/10/01 - [주식 이야기] -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3(개미투자자, ETF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2017/10/03 - [주식 이야기] -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4(어떤 마음가짐으로 투자에 임할 것인..
'ETF투자 알아보기 시리즈' 글을 통해 우리가 ETF투자를 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와 더불어 기본적으로 주식투자에 임하는 자세 등에 대해 천천히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이 시리즈에서 잠시 벗어나 우리가 주식투자에서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개념에 대해 짚고 넘어가려 한다. 여기서 소개하는 개념들은 주식투자 뿐만 아니라 인생의 여러 분야에 두루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ETF투자를 포함한 주식투자라는 것은 무척 간단한 원리를 가지고 접근하면 된다. "저평가 된 종목을 사서 고평가일 때 판다." 알고나면 굉장히 간단한 이치이고 단순한 원리임에도 불구하고 그 간단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 참으로 많이도 돌아서 왔다. 돌아서 온 것 뿐만 아니라 앞서 했던 얘기를 또 다시 반복하고 반복..
지난 글에서 투자에 임하는 마음가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주식투자(ETF투자)란 애초에 우리에게 불리한 게임이며 그것을 인정하고 투자에 임하는 마음이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 지난 글 보기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1(주식투자의 본질은 무엇인가)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2(개미투자자가 ETF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3(개미투자자, ETF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4(어떤 마음가짐으로 투자에 임할 것인가?) 개미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서 외인, 기관과 경쟁하는 것이 굉장히 불공정하고 불리한 처사라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오죽하면 시장에는 '개미와 반대로 하면 성공한다.' 라는 웃지 못할 속설도 있다. 저들과..
앞선 글에서 기본적인 ETF 매매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난 글 다시보기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1(주식투자의 본질은 무엇인가)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2(개미투자자가 ETF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투자 탐구생활]ETF투자 알아보기-3(개미투자자, ETF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사실 주식시장에서 절대적인 필살기와 같은 매매기법은 없다. 단지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 뿐이다. 주식시장은 참 냉정한 곳이다. 열 번을 투자해서 아홉 번을 성공하고 마지막 한 번을 실패하면 단순 계산으로는 9승 1패 이지만 이 세계에서는 실패한 투자자가 되어버린다. 그렇기에 우리는 수익을 최대화하는 것도 좋지만 리스크를 제거하려는 노력을 통해 실패에서 최..
- Total
- Today
- Yesterday
- 배당
- 부동산
- 재테크
- 리워드
- PER
- 부동산p2p
- 두시펀딩
- 블루문펀드
- 주식 용어
- ETF
- 주식사는법
- 배당주
- 수익률
- 주식 투자
- 주식 기초 용어
- 주식투자
- 코스피지수
- 비즈펀딩
- 코스피
- 동산담보p2p
- P2P투자
- 상품권리워드
- p2p펀딩
- 원달러환율
- 삼성전자
- p2p상품
- 아나리츠
- ETN
- 더하이원펀딩
- 주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