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시장이 요즘 약간의 조정을 받고 있다. 작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 쉼없이 오르기만 했으니, 차익 실현 물량도 있을 것이고 현재 가격에서 덥석덥석 매수하기 꺼려하는 심리도 조금씩 생겨나지 않았을까 싶다. 여기에 공매도까지 있다면 아주 신나게(?) 하락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그렇게까지 암울한 분위기는 아닌듯 하다. 우리나라는 그렇다치고, 요즘 미국 주식 얘기가 정말 핫하다. 뉴스에 하도 나와서 주식에 관심이 별로 없으신 어르신들께서도 미국의 게임스탑(티커 : GME) 이야기를 하실 정도이니 그야말로 핫 이슈라고 할 수 있다. GME 차트를 보면 뭐 이런 경우도 다 있구나 싶을 정도로 폭발력이 어마어마하다. 1년 전에 4불 정도 하던 주식이 최근 2주 사이에 거의 500불을 구경하고 약간(???)의..
2020년 3월 13일 금요일, 주식쟁이들에게 두고두고 기억될 우리들만의 블랙프라이데이. 어젯밤, 미국 시장이 다시 한 번 시원하게 폭락했고 오늘 아침, 국내 주식 시장도 열렬히 화답했다. 미국, 유럽, 우리나라 가릴 것도 없이 사이드카, 서킷 브레이커가 심심하면 터져대는 바람에 평소에는 보기 힘든 이 두 녀석이 굉장히 흔한 존재가 되어버렸다. 이제는 서킷 브레이커가 걸렸다고 해도 '응, 또 걸렸구나. 이 지겨운 녀석' 정도의 반응만 해 줄 수 있을 뿐이다. 내가 개미고, 개미가 나인 물아일체의 경지에 오른 투자자이기에 내가 가진 마음가짐을 평범한 다른 투자자들도 많이들 가지고 있을거라 생각하며 시장을 대하려고 한다. 이쯤 되었으면 어떤 의미로든 심장이 두근댈 법도 한데, 희한하게도 아무 반응이 없다. ..
어제, 금융 관련한 뉴스를 훑어보다가 '골드만삭스의 무차입공매도 행위에 대해 75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될 것이다.'란 주제의 뉴스를 보았다. 당초 10억원 가량의 과징금이 예상되었으나 증권선물위원회에서 과징금을 75억원으로 상향 조정하여 부과할 것이며, 종전에 무차입 공매도에 대한 최고 벌금이 6천만원이던 것을 뛰어 넘는 국내 증시 역사상 최대의 과징금이라는 것이다. 사실 그 동안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불만이 지속적으로 쌓여오고 있었다. 기관은 되고 개인은 안되는 불평등한 구조의 제도인데다가 주가 하락에 부채질을 하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대다수 개인 투자자들에게 공매도란 단어는 부정적인 의미로 다가오기 마련이다. [주식 기초 용어]'공매도'란 무엇인가? 공매도에 대한..
'공매도'는 주식투자를 하는 대다수의 개미투자자들에게는 공공의 적처럼 느껴지는 단어이다. 지금은 주가가 훨훨 날아가고 있는 셀트리온도 한 때 기업 차원에서 공매도를 비판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주식 대여 서비스를 하지 않는 증권사로 종목을 이관하자는 투자자들의 집단적인 움직임도 있었다. 또한 많은 개인투자자들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 제도 폐지를 원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법안이 마련되었다는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과연 공매도가 어떤 것이길래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것인지 이번 글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공매도 공매도의 '공'은 한자로 구멍 공(空)이다. '없다'는 의미의 한자어로 쓰이며, 이를 그대로 대입하면 '공매도'는 '없는 것을 판다' 라는 의미가 된다. 우리가 주식을 매도하려면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삼성전자
- p2p펀딩
- 수익률
- PER
- 주식 용어
- 아나리츠
- 리워드
- 블루문펀드
- P2P투자
- 주식투자
- 주식
- 코스피지수
- 배당
- 주식 기초 용어
- 배당주
- 부동산
- p2p상품
- 재테크
- ETF
- 두시펀딩
- 원달러환율
- 주식 투자
- 부동산p2p
- 더하이원펀딩
- 상품권리워드
- 코스피
- 비즈펀딩
- 주식사는법
- ETN
- 동산담보p2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