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를 하고, ETF나 ETN같은 투자상품을 접하다 보면 '레버리지'라는 문구가 붙은 상품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해당 상품이 추종하는 지수가 오르면 2배로 오르고, 내릴 때도 2배로 내리는 '농약 같은' 매력을 가진 상품이다. 여기 나의 ETF투자 실패 경험담을 담은 글이 있다. 글 내용은 별 거 없지만, 댓글 달아주신 분들을 보며 배울 점이 많이 있었다. [ETF투자 경험담]나의 ETF투자 실패 이야기(부제: 인버스의 함정을 간과한 자의 최후) [ETF투자 경험담]나의 ETF투자 실패 이야기(부제: 인버스의 함정을 간과한 자의 최후) 주식 투자이건, P2P투자이건, 채권 투자이건, 아무튼 투자라는 것을 하다보면 투자가 성공해서 수익을 낼 때도 있고, 반대로 실패해서 손실을 볼 때도 있다. '나..
주식 투자이건, P2P투자이건, 채권 투자이건, 아무튼 투자라는 것을 하다보면 투자가 성공해서 수익을 낼 때도 있고, 반대로 실패해서 손실을 볼 때도 있다. '나는 죽어도 내 돈이 손실나는 꼴은 못보겠다.' 라고 한다면 1금융권 은행에 돈을 맡겨 놓고 두 다리 쭉 뻗고 자면 된다. 5천만원까지는 예금자보호도 되니 어지간한 금액은 국가에서 원금보장까지 다 해준다. 우리 나라가 한창 성장하던 8-90년대 시기에는 은행에만 넣어놔도 내 자산이 금방 불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재테크라는 개념도 희미했었다. 은행 이자가 기본적으로 10%대를 넘나들었으니 은행만 잘 이용하면 별다른 리스크 없이 돈을 불리고, 집을 사고,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었다는 얘기다. 아마 지금 은행에서 10%대 예적금을 출시한다고 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재테크
- 수익률
- 부동산p2p
- p2p펀딩
- 주식 기초 용어
- 주식 용어
- 상품권리워드
- 부동산
- 원달러환율
- 더하이원펀딩
- 코스피
- 주식 투자
- 주식투자
- 리워드
- 두시펀딩
- 비즈펀딩
- 블루문펀드
- ETN
- P2P투자
- 주식
- ETF
- 배당주
- 주식사는법
- 코스피지수
- 삼성전자
- 배당
- 아나리츠
- p2p상품
- PER
- 동산담보p2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